2020. 5. 1. 18:09ㆍ축구이야기
축구리그는 자연 독점 현상인가?
자연독점은 단일 공급자를 통한 값싼 재화의 생산 및 공급을 통해 최대 효율이 발생하는 경제 현상을 말한다. 이런 방식의 독점은 규모의 경제에 의해 발생한다. 즉, 추가적으로 재화를 생산할 때마다 이전보다 더욱 값싸게 생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급자는 타 공급자에 비해 특정 재화를 저렴한 가격에 생산할 수 있다. 이 공급자는 시장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고 다른 공급자들에게 위협을 가한다. 국가적 가격 규제와 같은 국가의 조치 필요성은 정기적으로 자연 독점의 존재에서 비롯된다.
분데스리가는 경쟁자가 없는 리그이기 때문에 분데스리가도 자연 독점 현상이 아닌지 의심이 존재한다. 리그제 스포츠에서 자연 독점의 발생은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발생한다 (Daumann 2019, 198 ff.):
1. Single Entity 이론: 리그 대항전은 단일 게임들로 구성되는데, 이 게임은 2 클럽이 승리를 위해 경쟁하며 발생하는 것이다. 대중들에게 이야기 거리를 생산하는 상품의 경우 많은 클럽들이 필요하다. 이 상품을 공급하는 주체는 개별 클럽이 아니고 대부분 한 단체에서 담당하게 되고, 자연 독점을 만들어낸다. 즉 리그를 운영하는 연맹과 구단이 분리되어 있지 않고, 연맹에 소속된 구단들이 리그에 참여하는 단일 조직의 형태를 나타낸다. (안희성, 2019)
2. 규모의 경제 : 규모의 경제는 리그가 최소한의 클럽을 보유해야하기 때문에 발생할 수있다
3. 상위 리그에서 경제적으로 버틸 수 있을만한 수요를 충족시킬만한 대도시에 클럽 수가 제한된다. 또한 리그 우승도 제한된 상품이다.
아래는 분데스리가가 자연 독점이 아니라는 의견들이다.
1. 분데스리가의 클럽들은 독립적이고 자신만의 목표와 정책을 가지고 있다 (Joint Venture). 클럽의 개별적인 목표는 종종 리그를 운영하는 연맹에 독이 될 수 있다 (승부조작으로 인한 강등). 즉 특정 연맹이 운영 주체로 전적인 것을 담당하는 미국 축구 시스템인 Single Entity과 다르다.
2. 클럽들은 독립적이고 인력 비용을 스스로로 지출해야하기 때문에 리그 측은 마케팅과 경기 조정 등에 작은 비용을 사용한다. 분데스리가 연맹 측에서 규모의 경제는 발생하지만 그 효과는 미비하다. 또한 클럽의 숫자가 특정 수 이상으로 증가함에 따라 리그가 클럽당 지출해야 하는 비용이 증가 할 것으로 계산된다. 클럽의 지출구조와 리그와는 상관이 없다. 리그가 클럽의 비용을 부담하지 않기 때문이다.
3. 인구가 많은 주에서 클럽 수의 제한은 없다. Ruhr 지역, 베를린, 뮌휀 같은 대도시 지역에 여러 클럽데 대한 수요가 충분하다. 또한 많은 분데스리가 클럽들이 티켓 판매에서 7분의 1 정도의 수입을 올리는 상황이다. 챔피언이 있는 리그가 시장체제에서 우위를 점하고 그에 따라 수요를 생성 할 수 있다. 우승보다 오히려 순위 경쟁이 이익을 창출한다.
즉, 분데스리가는 자연 독점이라 평가하기 어렵다. 혁신적인 상품을 보유한 경쟁 업체가 더 저렴한 비용의 구조를 구현하거나 추가 수요를 창출 할 수 있기 때문에 당연한 독점이 있었더라도 경쟁을 허용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결과적으로, 경쟁을 제한하는 리그 관행을 방지하고 시장 진입을 경쟁 리그에 공개하는 데 있어 경쟁 정책을 고려해야한다. 분데스리가에 대한 경쟁 리그가 없다는 사실에는 다른 이유가 있다.
축돌이 : 김기현
유럽축구연맹/독일축구협회 B라이센스 지도자자격증
koreaemile@gmail.com
http://trainertalk.net
https://brunch.co.kr/@kamugo9
원문
http://wirtschaftlichefreiheit.de/wordpress/?p=25985#more-25985
Literatur:
Daumann, F. (2019), Grundlagen der Sportökonomie, 3. Aufl., München.
Neale, W. C. (1964), The Peculiar Economics of Professional Sports, in: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 78, S. 1-14.
Rosenbaum, T. N. (1987), The Antitrust Implications of Professional Sports Leagues Revisited: Emerging Trends in the Modern Era, in: University of Miami Law Review, Vol. 41, S. 729-822.
Ross, S. F. (1989), Monopoly Sports Leagues, in: Minnesota Law Review, Vol. 73, S. 643-761.
추가 참고 자료
'축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릴 스카우터, 루이스 캄포스 (0) | 2020.05.02 |
---|---|
분데스리가는 왜 경쟁리그가 없는가? (0) | 2020.05.01 |
독일에서 축구와 관련된 일하기 (0) | 2020.02.23 |
지안 피에로 가스페리니의 코칭, 트레이닝, 팀 경영 (1) (0) | 2020.01.25 |
아탈란타 감독 인터뷰 (2) (2) | 2020.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