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10. 27. 18:01ㆍ축구심리학
스포츠 심리학 - 축구 주의력 훈련
Daniel Memmert와 Philipp Furley 독일 체육대학교 교수는 스포츠에서 주의력 과정(Aufmerksamkeitsprozess)에 대하여 연구했습니다. 이는 인식(Wahrnehmung)과 주의력(Aufmerksamkeit)로 나뉩니다. 주의력(Aufmerksameit)은 네가지 요소인 주의력 방향설정 (Aufmerksamkeitsorientierung), 선택적 주의력(Selektive Aufmerksamkeit), 분산적 주의력(geteilte Aufmerksamkeit)와 집중력(Konzentration)으로 구성됩니다.
인간은 진화함에따라 인식체계가 지속적으로 궁극화되어 발전했습니다. 뇌는 주변 세계의 끊임없는 자극 중 직면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중요한 정보를 뽑아내는데, 이 과정은 무의식적으로 인식됩니다. 인간은 적합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중요치 않은 정보를 거르고, 주의력을 통해 중요한 정보를 뽑아냅니다. 주의력과 기억력 혹은 실행기능과 같은 인식과정은 정보입력에 기여합니다.
팀 스포츠에서 선수들은 복잡한 상황에서 경기를 합니다. 그리고 그들은 동시에 경기에 필요한 능력을 수행해야만 합니다. 한 축구선수는 드리블을 하며, 상대방을 막고 마크가 붙지 않은 선수를 스캔해야 합니다. 그러나 제한된 능력으로 모든 정보를 완전히 처리할수는 없습니다. 여과 능력의 도움을 통해 중요한 정보와 중요하지 않은 정보를 나눕니다. 선수는 당면한 과제를 극복하기 위해 중요한 정보를 선별했을 때 효과적인 퍼포먼스를 수행할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선수는 무엇으로부터 어떤 정보가 중요한지 알수 있을까요?
주의력 방향설정은 특히 주목을 끄는 자극을 향한 이러한 방향설정은 정보의 처리를 원활하게 해줍니다. 이를 통해 주의력의 초점에서 벗어난 정보들은 처리하기 힘들어집니다. 선수는 자신이 중요한 정보가 포함된, 반응해야만 하는 지점으로 주의력을 설정해야 합니다.
특정 자극을 향하여 주의력을 설정했을 경우 선택적 주의력은 같은 시점에 발생하여 상충하는 두가지 자극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축구선수들은 선택하지 않은 정보를 차단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상황에서 두가지 혹은 여러 요소를 동시에 향하는 것을 요구합니다.
복잡한 축구경기에서 벌티태스킹을 시행하기 위해 '주의력 자원' (경기가 지속될수록 주의력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발생)을 동시다발적으로 많은 과제 혹은 정보수집에 나누어 사용되야합니다.(분산적 주의력) 선수들은 그들의 제한된 정보처리능력 때문에 경기의 객관적인 정보를 수용하지 못합니다. 감독은 해당 문제를 의식적으로 인식하고 경기의 복잡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도와야 합니다. (테크닉 존에서 지시) 선수들은 종종 비어있는 선수를 인식하지 못하고 패스를 합니다. 하지만 시합동안 테크닉 존에서 감독의 지시를 통해 전술적 유연성이 감소하거나 선수의 전술적 결정에 악영향을 끼칠수 있습니다.
집중력은 주의력을 오랜 시간 동안 특정 자극을 향하여 유지하는 능력입니다.
Inattentional bildness
스포츠 경기에서 분산적 주의력은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종종 축구선수들은 완전이 마크로부터 자유로운 선수로부터 시야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비어있는 선수를 인식하지 못했기 때문에 비난을 듣습니다. 이 현상을 "inattentional bildness"라고 칭합니다. 주의력이 특정 영역을 향했을 때 그 정보는 의식적으로 수용되고 가공됩니다. 예상치 않은 대상이 시야에 있었다고 하더라도 인식되지 않습니다. 의식하지 못한 선수를 인식하고 패스하는 것은 종종 창의적인 해결방법으로서 경기를 풀어갈수 있습니다. 예상치 못한 대상을 인식하는 것은 집중적인 주의력 트레이닝을 통해 학습될수 있습니다. 이것은 아이들때 부터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아이들은 성인들과 청소년들보다 예상치 못한 대상을 더욱 잘 인식합니다.
전술적 의사결정에서 근원적인 답을 도출하기 위해 팀 스포츠 선수들은 주의력 집중이 필요합니다. 특정 상황에서 많은 자극을 받아들일수록 주의력 집중의 범위가 더욱 넓어집니다. 인식은 초기의 전술적 지시로 인해 제한되기도 합니다. 한 선수가 전술적 규칙에만 상응하여 행동한다면 그 외의 중요한 정보는 인식하지 못합니다. 전술적 지시는 나쁜 퍼포먼스를 결과로 가져 오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주의력 트레이닝의 목적은 트레이너의 지시를 수행하는 것 뿐 아니라 동시에 가능한 여러가지 해결방법을 인식입니다.
'축구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포츠 심리학] 의식적 생각, 실행 기능 (0) | 2019.02.11 |
---|---|
[스포츠 심리학] 축구감독의 지시란? (0) | 2018.11.15 |
[스포츠 심리학] - 인지훈련을 통한 정확한 결정 2 & 작업기억 (0) | 2018.10.25 |
[스포츠심리학] 축구에서 인지란 무엇일까? (0) | 2018.10.20 |
[스포츠 심리학] IZOF 모델 -감정 조절 (0) | 2018.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