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4. 12. 05:25ㆍ축구논문
적응(Adaption)은 광범위하고 일반적인 범위내에서 말하자면 인류가 유기체의 기능적-형태적 완성, 생존능력의 증대와 불특정한 저항능력을 이끄는 자연적인 조건에 적응(Anpassung)하는 것이다. 유기체의 적응은 균형을 유지하려는 성질인 항상성과 일반적이고 불특정한 적응 반응의 상호작용으로 묘사될수있다. 하지만 단기간에서 장기간의 적응으로 넘어가는 과도기간 조직세포생성과 적응적 단백질합성의 활성화가 나타난다.
더욱 나아가 불특정 적응 메커니즘을 거치는 유기체의 에너지 보존량과 신체적 보존량간 활성화 과정에서 연관관계가 있다고 가설을 발전시킬수있다. 근육을 사용하는 적응메카니즘(Adaption)은 오랜 트레이닝 기간동안 멈추지 않고 은동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근거한다. 이 가설은 체육교육의 이론과 다양한 그룹을 대상으로한 효과적인 형태와 방법의 향상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오랜 기간의 적응과정
오랜 기간의 트레이닝 체계를 통해 신체적 부하를 받는 운동선수의 장기간 적응에 대한 연구로 확장되었고 무엇보다 양적-시간적에 기반한 유기체의 기능적 재편을 폭발력 향상(Explosivkraft) 이라는 조건아래 관찰했다. 오랜기간 트레이닝을 통한 운동선수의 상태변화는 트레이닝 내용, 트레이닝 양, 트레이닝 구성과 연관이 있고 이는 다양한 구간에서 활용되었다.
대상은 다양한 종목의 선수들이고 실제 시합조건 아래 그들의 근육그룹이 작동하는 방식의 순발력이 측정되었다. 그리고 이 선수들을 대상으로 주기적으로 테스트가 진행되었다.
한 선수를 수년간 관찰한 내용이 Abb.1에 나타나있다. 체계적으로 구성된 트레이닝에 전형적인 변화지점이 나타난다. 연도별로 약간 비선형적인 저하가 나타난다. 이는 트레이닝 구성의 방식과 유기체의 적응 가능성과 관련된다.
이 연구자료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1. 스포츠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과정에서 선수들의 컨디션적인 조건은 연도별로 향상되었다.
2. 한 주기가 끝날무렵 선수들의 컨디션적 조건이 낮아졌지만 다음 주기에서 다시 이전보다 높아졌다.
3. 참여하는 대회가 많아지면서 컨디션적인 조건의 성장속도가 더뎌졌다.
오랜기간의 트레이닝은 운동선수의 특수한 퍼포먼스 능력이 구현되는 범위 안에서 개별적 기능의 특징의 역할이 변화한다고 결론을 도출할수 있다.
'축구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축구논문] 축구선수 훈련 후 회복방법 (0) | 2019.05.11 |
---|---|
[축구논문] UEFA Pro 라이센스 논문에서 발췌한 경기 분석 1- bruzzo (0) | 2019.04.18 |
[축구논문] 축구 전술 분석-1 (0) | 2019.03.28 |
[축구논문] 남자 유소년 축구에서 FIFA 11+ 웜업 프로그램의 효과 -집단 무작위 통제 실험 (0) | 2019.03.21 |
[축구논문] 신경근 움직임 통제 개선을 통한 부상방지 5 (0) | 2019.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