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심리학 - 운동지속 혹은 고착화(Adhärenz)

2019. 7. 14. 07:15축구심리학

 

 

2004년 통계에 의하면 64%의 미국성인이 비만 혹은 과체중으로 여겨졌다. 또한 운동을 시작한 사람들의 50%가 운동을 시작한지 6개월만에 중도 포기하였다. 심리적-신체적인 긍정적 효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왜 사람들은 운동을 하지않으며 설사 운동을 시작하였다 하더라도 이 운동을 이어나가지 못하는 이유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운동을 하는 이유

 

체중조절

심장관련질환 방지

스트레스 및 우울증 감소

재미

자존감 형성

사회적 상호작용

 

운동을 하지 않는 이유

시간부족

에너지부족

동기부여부족

 

운동을 지속하지 못하는 이유

 

개별적인 심리적, 신체적 요인을 파악하지 못하는 트레이너

강도, 시간, 휴식과 운동을 엄격히 지키는 트레이너

전통적인 방법

동기부여를 극대화 시키지 못하는 것

자기주도적이지 않음

 

Relapse에 빠지지 않는 방법

 

Lapse는 운동을 도중에 포기하는 것을 지칭하고 Relapse는 이것이 반복되어 나타나는 현상을 지칭하는 말이다. 보통 휴가 혹은 휴일에 다음과 같은 상황이 발생하는데 이를 대비하여 휴가 근처 체육관 및 운동장소를 알아두는 것이 좋다. 운동포기를 강요받는 상황(시간부족, 에너지부족)을 대처하는 방법을 강구해야한다. e.g 몸이 너무 피곤할 경우 홈트레이닝 등 운동을 해야만 한다고 생각하는 것보다 원한다고 생각한다. 

 

제일 중요한 것은 운동을 중도 포기하는 것에 대해 너무 자책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시도하는 것이다.

 

Adhärenz 모델

 

1. Health belief model -

 

질병 등의 위험감지가 운동의 시작점이라는 이론이다.

 

2. theory of planned behavior -

 

자신의 태도, 상대방이 나에게 기대하는 것, 자신의 운동수행 능력이 종합적으로 의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 의도가 행동으로 이어지게 된다는 이론이다.

 

3. social cognitive theory

 

사회 심리학에 큰 족적을 남긴 벤두라의 사회인지이론입니다. 개체와 행동과 환경이 상호 영향을 준다는 이론인데 이 중심에는 어떤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수 있다는 기대를 나타내는 자기효능감이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4. transtheoretical model

 

운동을 시작하고 습관을 형성하여 영구적으로 운동을 하기까지의(고착화) 과정을 나타낸 이론으로서 총 6가지 국면으로 나누어진다.

 

 

 

고착화를 위한 방법

 

1. 노출

 

한 회사의 엘리베이터 옆에 산악등정을 하는 사람들의 사진을 붙여놓았을때 계단으로 사무실에 올라가는 비율이 높았다. 광고 혹은 문구를 지속적으로 노출시켜 운동의 필요성을 자극하는 것이다.

 

2. 계약

 

스스로에게 계약을 하여 눈에 띄는 곳에 계약서를 붙인다.

 

3. 인지적 - 행동적 과정

 

동기부여를 위한 목표설정이 필요하다. 또한 운동을 할때 내적으로 집중하며 힘듬을 계속 느끼는 것보다 외부로 시선을 돌릴경우 운동을 지속할수 있었다. 포기하고 싶을때는 질보다 양에 집중하는 것, 양을 채우지 못할때는 시간이라도 채워 운동습관을 형성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4. Social supporting

 

소셜 서포팅은 주위 사람들과 커뮤니케이션 혹은 지지를 뜻한다.

 

 

참고문헌

 

Weinberg, R.S. & Gould, D. (2007). Foundations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Chapter 18). Champaign, IL: Human Kinetics (5th edition).

 

 

이미지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Health_belief_model

https://www.cleverism.com/theory-of-planned-behavior/

https://www.studyblue.com/notes/note/n/social-cognitive-theory/deck/852690https://www.researchgate.net/figure/Transtheoretical-model-for-behavioral-change_fig3_318236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