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논문 - 유소년 축구 선수들의 러닝 퍼포먼스

2019. 8. 7. 17:28축구논문

축구논문 - 유소년 축구 선수들의 러닝 퍼포먼스

 

요약

 

유소년 선수들은 경기간 어떤 방식으로 달릴까? 스포츠 학자들은 이 질문을 체계적으로 조사했다. 50개의 논문을 통해 밝혀진 사실은, 연령뿐만 아니라 생리적 상태와 포지션은 유소년 선수들이 경기 당 달릴수 있는 거리와 얼마나 강도높은 러닝을 수행할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또한 중첩된 경기 계획 또한 주의할 요소다. 그러나 이 연구는 50개의 문헌과 불일치를 보인다. 예를 들어서 게임의 후반부에 유소년 축구 선수의 러닝 퍼포먼스가 감소하는지 여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연구 결과간 상호 비교는 속도 영역을 평가 하기 위한 표준화가 없다는 사실로 인해 더욱 어려워졌다.

 

잔디 체스에서 빠른 속도의 축구까지

 

오늘날의 12세 유소년 축구 선수들은 1974년 축구 월드컵 우승 국가보다 더욱 많이 뛴다. 13세 이하 축구선수들은 경기당 7km 달리지만 베켄바우어와 그 당시 독일팀은 경기를 잘 하기 위해 5킬로미터 이상 달리는 것이 필요하지 않았다. 그 당시의 "잔디 체스"는 시대적인 변혁을 거쳐 발전했고 빠른 결정 뿐만 아니라 여러 번의 스프린트와 긴 거리를 이동하는 것이 요구된다. 

 

나이와 포지션에 따라 오늘날의 분데스리가 선수들은 14km까지 달리고 경기당 30번의 스프린트를 수행한다. 최대속도는 35 km/h 부근으로 측정되었다. 최근 현대화된 트랙킹 방법 덕분에 감독들은 모든 프로선수들의 상세한 데이터를 사용할수 있게 되었고 선수의 생리적인 요구사항을 실전에서 사용될수 있다.

 

여러 논문에서 이미 프로 영역의 러닝 퍼포먼스 자료를 수집했다. 하지만 유소년 영역에서는 이와 관련한 자료는 등한시 되었고 연령별 특성을 고려치 않은 아이들과 유소년들에게 '축소된 성인 트레이닝'이 시행되었다. 연구팀은 이에 유소년 축구선수들의 러닝 퍼포먼스에 관한 사항을 체계적으로 조사했다.

 

표준화 되지 않은 스피드 측정에 관한 문제 해결

 

유럽 국가들의 방대한 양의 연구를 조사했지만 연구 데이터의 비교는 어려웠다. 경기가 진행되는 방식과 러닝 측정기준의 관점에서 연구들이 상이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몇몇 연구는 러닝 퍼포먼스를 개별적인 기준에 의해 구분했다. 또한 이 시스템간의 계산법에 차이가 있다. 고정된 속도 구간은 예를 들어 스프린트, 달리기, 빠르게 걷기, 조깅간의 경계가 확정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자들은 흥미로운 결론을 도출했다.

 

유소년 엘리트 선수들이 더욱 많은 거리를 뛰고 더욱 빠르게 뛰나?

 

유소년 엘리트 선수들의 한 경기 러닝 퍼포먼스는 일반 유소년 선수들에 비해 뛰어났다. U13과 U14 유소년 엘리트 선수는 분당 대략 105m를 달렸고 최대 시속 22,5 km/h (U13) 과 27 km/h(U14)를 기록했다.

 

또한 연구는 NLWZ(프로구단에서 유소년 선수를 육성하는 기관)의 선수들과 그렇지 않은 선수들간의 상관 관계도 발견했다. 위 그룹간 비교를 했을때 NLWZ 선수들은 한 경기에서 분당 많은 거리를 주행하고 상대적으로 적당한 강도로 러닝을 했다. 

 

 

포지션에 따른 러닝 퍼포먼스

 

엘리트 유소년 축구선수들에게는 경기간 포지션의 배치와 러닝 퍼포먼스간 큰 상관관계가 있었다. 전체 달린 거리, 최대 속도, 스프린트 빈도수와 스프린트 거리의 수치를 통해 알수 있다. 중앙 수비수들의 경우 평균적으로 강도 높은 달리기의 빈도수가 낮았고 전체 거리가 짧게 측정되었다. 미드필더의 경우 평균적으로 가장 긴 거리를 달렸다. 가장 빠른 속도 및 대부분의 고강도 러닝활동은 공격수 포지션의 선수들에 의해 많이 발생했다. 러닝 퍼포먼스와 포지션간 상관관계를 밝히기 위한 대부분의 연구들에서는 연구자들이 연령과 게임 시간에 따라 러닝 퍼포먼스를 측정했었다. 연령적 특성을 고려치 않고 위의 연구자들은 포지션의 위치에 따른 러닝 퍼포먼스를 조사했다. 모든 연령대에 걸쳐 포지션별 러닝 퍼포먼스의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답변은 아직 없다. 예를 들어, 이러한 보완점이 해결되면 트레이너는 어느 연령대가 어떤 게임 포지션에서 추가 훈련을 통해 이득을 볼수 있는지 더욱 잘 추정할수 있다.

 

(*필자 : 포지션에 따른 러닝 퍼포먼스는 자신의 팀 플레이 모델이 어떤지 그리고 어떤 팀을 상대하느냐에 따라 상이하게 측정될수도 있다)

 

연령에 따른 러닝 퍼포먼스

 

유소년 선수들의 러닝 퍼포먼스는 연령과 정비례할까?

 

기본적으로 연령대가 높아짐에 따라 아래의 수치들이 높아졌다.

  • 최대속력
  • 전체 이동 거리
  • 강도높은 러닝
  • 반복적 스프린트

한 연구는 사춘기가 시작된 선수들이 높은 연령대의 선수들보다 서있기, 걷기 그리고 조깅으로 시간을 많이 보낸다고 밝혔다. 연구 저자들은 연대적 나이와 생물학적 나이가 차이가 있다는 것을 생각해야한다고 했다. 동일한 연령대에서 선수들의 퍼포먼스를 비교할때 생물학적으로 빨리 성숙하는 선수들은 그렇지 않은 이들에 비해 장점을 가진다고 했다. 실제 연구들에서 차이가 발생했다.


카타르와 뉴질랜드에서 개별적인 스피드 존을 활용하여 측정한 연구들에서는 연령대가 낮은 선수들이 연령대가 높은 선수들보다 강도높은 러닝을 오랫동안 하난 경향을 발견했다. 이는 연령대가 낮은 선수들이 전술적으로 기술적으로 숙련되지 못했기때문에 많은 거리를 달려야만 했다고 추측되어진다.

하프타임 후 러닝 퍼포먼스의 변화가 있나?

 

유소년 축구선수들의 전반전과 후반전 러닝 퍼포먼스를 비교하는 연구들에서는 동일한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몇몇 연구에서는 후반전 전체 이동 거리, 강도 높은 러닝, 반복적인 스프린트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다른 연구에서는 전, 후반전의 차이가 크게 없었다. U13 선수들의 경기는 전,후반전 30분으로 구성되는데 선수들이 전반전 평균적으로 3000m를 달렸으나 후반전에는 2850m를 달렸다.

 

경기 빈도수에 의해 영향 받을수 있는 러닝 퍼포먼스

유소년 엘리트 경기에서도 마찬가지로 지난 몇여년간 증가된 경기수로 인해 육체적인 피로 및 부담이 상승했다. 새로운 연구들은 중첩된 경기계획( 예를 들어서 1주에 2번)은 러닝 퍼포먼스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고 주의했다. U16-U17 선수들은 2 경기를 2일에 1번 혹은 4일에 한번 해야만 했다. 이와 반대로 아직 최고 성장기에 있지 않은 많은 선수들에게서는 러닝 퍼포먼스의 저하가 나타나지 않았다. U16 선수들의 러닝 퍼포먼스를 분석한 연구에서 토너먼트 대회가 5경기 진행되었고 가속도 측면에서 러닝 퍼포먼스의 저하가 독자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 이동거리 및 강도 높은 러닝은 특별한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원문 :

 

Vieira, L. H. P., Carling, C., Barbieri, F. A., Aquino, R., & Santiago, P. R. P. (2019). Match Running Performance in Young Soccer Players: A Systematic Review. Sports Medicine, 49(2), 289-318.

 

이미지 출처 :

 

https://www.dfb-akademie.de/studie/laufleistungsanalyse-im-nachwuchsfussball/-/id-15000111

 

문헌참조 :

 

  1. https://www.mdr.de/wissen/fussball-wm-rasenschach-100.html

  2. Buchheit M, Mendez-Villanueva A, Simpson BM, Bourdon PC. Match running performance and fitness in youth soccer. Int J Sports Med. 2010;31(11):818–25.

  3. Saward C, Morris JG, Nevill ME, Nevill AM, Sunderland C. Longitudinal development of match-running performance in elite male youth soccer players. Scand J Med Sci Sports. 2016;26(8):933–42.

  4. https://www.kicker.de/738899/4/slideshow_tempo-tempo-tempo_die-raketen-der-liga.html

  5. https://www.bundesliga.com/de/statistiken/bundesliga/aktuelle-saison/alle-spieltage/spieler-statistiken

  6. Waldron M, Murphy A. A comparison of physical abilities and match performance characteristics among elite and subelite under-14 soccer players. Pediatr Exerc Sci. 2013;25(3):423–34.

    STUDIE LESEN
  7. Randers MB, Andersen TB, Rasmussen LS, Larsen MN, Krustrup P. Effect of game format on heart rate, activity profile, and player involvement in elite and recreational youth players. Scand J Med Sci Sports. 2014;24(Suppl 1):17–26.

  8. Goto H, Morris JG, Nevill ME. Motion analysis of U11 to U16 elite English Premier League Academy players. J Sports Sci. 2015;33(12):1248–58.

  9. Goto H, Morris JG, Nevill ME. Match analysis of U9 and U10 English premier league academy soccer players using a global positioning system: relevance for talent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 J Strength Cond Res. 2015;29(4):954–63.

  10. Carling C, Collins D. Comment on “Match analysis of U9 and U10 English premier league academy soccer players using a global positioning system: relevance for talent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 J Strength Cond Res. 2017;31(2):e61–3.

  11. Bradley PS, Ade JD. Are current physical match performance metrics in elite soccer fit for purpose or is the adoption of an integrated approach needed? Int J Sports Physiol Perform. 2018;13(5):656–64.

  12. Andrzejewski M, Pluta B, Posiadala D. Characteristics of physical loads of young footballers during a championship match. J Hum Kinet.

  13. Rago V, Pizzuto F, Raiola G. Relationship between intermittent endurance capacity and match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laying position in sub-19 professional male football players: preliminary results. J Phys Educ Sport. 2017;17(2):688–91.

  14. Izzo R, Varde’i CH. Differences by field positions between young and senior amateur soccer players using GPS technologies. Ovidius Univ Ann Ser Phys Educ Sport Sci Mov Health. 2017;17(2):344–52.

  15. Harley JA, Barnes CA, Portas M, Lovell R, Barrett S, Paul D, et al. Motion analysis of match-play in elite U12 to U16 age- group soccer players. J Sports Sci. 2010;28(13):1391–7.

  16. Bellistri G, Marzorati M, Sodero L, Sforza C, Bradley PS, Porcelli S. Match running performance and physical capacity profiles of U8 and U10 soccer players. Sport Sci Health. 2017;13(2):273–80.

  17. Vigh-Larsen JF, Dalgas U, Andersen TB. Position-specific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profiles in elite youth and senior soccer players. J Strength Cond Res. 2018;32(4):1114–22.

  18. Stroyer J, Hansen L, Klausen K. Physiological profile and activity pattern of young soccer players during match play. Med Sci Sports Exerc. 2004;36(1):168–74.

  19. Malina RM, Eisenmann JC, Cumming SP, Ribeiro B, Aroso J. Maturity-associated variation in the growth and functional capacities of youth football (soccer) players 13–15 years. Eur J Appl Physiol. 2004;91(5–6):555–62.

  20. Buchheit M, Mendez-Villanueva A. Effects of age, maturity and body dimensions on match running performance in highly trained under-15 soccer players. J Sports Sci. 2014;32(13):1271–8.

  21. Goto H, Morris JG, Nevill ME. Influence of biological maturity on the match performance of 8–16 year old elite male youth soccer players. J Strength Cond Res. 2018.

  22. Mendez-Villanueva A, Buchheit M, Simpson B, Bourdon PC. Match play intensity distribution in youth soccer. Int J Sports Med. 2013;34(2):101–10.

  23. Atan SA, Foskett A, Ali A. Motion analysis of match play in New Zealand U13 to U15 age-group soccer players. J Strength Cond Res. 2016;30(9):2416–23.

  24. Al Haddad H, Simpson BM, Buchheit M, Di Salvo V, Mendez- Villanueva A. Peak match speed and maximal sprinting speed in young soccer players: effect of age and playing position. Int J Sports Physiol Perform. 2015;10(7):888–96.

  25. Aslan A, Acikada C, Guvenc A, Goren H, Hazir T, Ozkara A. Metabolic demands of match performance in young soccer players. J Sports Sci Med. 2012;11(1):170–9.

  26. Castagna C, Manzi V, Impellizzeri F, Weston M, Barbero Alvarez JC. Relationship between endurance field tests and match performance in young soccer players. J Strength Cond Res. 2010;24(12):3227–33.

  27. Romagnoli M, Sanchis-Gomar F, Alis R, Risso-Ballester J, Bosio A, Graziani RL, et al. Changes in muscle damage, inflammation, and fatigue-related parameters in young elite soccer players after a match. J Sports Med Phys Fit. 2016;56(10):1198–205.

  28. Castagna C, D’Ottavio S, Abt G. Activity profile of young soccer players during actual match play. J Strength Cond Res. 2003;17(4):775–80.

  29. Capranica L, Tessitore A, Guidetti L, Figura F. Heart rate and match analysis in pre-pubescent soccer players. J Sports Sci. 2001;19(6):379–84.

  30. Aughey RJ, Hammond K, Varley MC, Schmidt WF, Bourdon PC, Buchheit M, et al. Soccer activity profile of altitude versus sea-level natives during acclimatisation to 3600 m (ISA3600). Br J Sports Med. 2013;47(Suppl 1):i107–13.

  31. Buchheit M, Hammond K, Bourdon PC, Simpson BM, Garvican-Lewis LA, Schmidt WF, et al. Relative match intensities at high altitude in highly-trained young soccer players (ISA3600). J Sports Sci Med. 2015;14(1):98–102.

  32. https://www.sueddeutsche.de/news/sport/fussball-dfb-coach-kramer-ueber-youth-league-hoechst-bedenklich-dpa.urn-newsml-dpa-com-20090101-190312-99-339364

  33. Aquino RL, Goncalves LG, Vieira LH, Oliveira LP, Alves GF, Santiago PR, et al. Biochemical, physical and tactical analysis of a simulated game in young soccer players. J Sports Med Phys Fit. 2016;56(12):1554–61.

  34. Varley MC, Di Salvo V, Modonutti M, Gregson W, Mendez- Villanueva A. The influence of successive matches on match-running performance during an under-23 international soccer tournament: The necessity of individual analysis. J Sports Sci. 2018;36(5):585–91.

  35. Buchheit M, Horobeanu C, Mendez-Villanueva A, Simpson BM, Bourdon PC. Effects of age and spa treatment on match running performance over two consecutive games in highly trained young soccer players. J Sports Sci. 2011;29(6):591–8.

  36. Rowsell GJ, Coutts AJ, Reaburn P, Hill-Haas S. Effect of post-match cold-water immersion on subsequent match running performance in junior soccer players during tournament play. J Sports Sci. 2011;29(1):1–6.

  37. Arruda AF, Carling C, Zanetti V, Aoki MS, Coutts AJ, Moreira A. Effects of a very congested match schedule on body-load impacts, accelerations, and running measures in youth soccer players. Int J Sports Physiol Perform. 2015;10(2):248–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