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레이닝학] 유소년 축구의 매치 플레이 강도 분포-2

2019. 2. 8. 00:07축구논문

유소년 축구의 매치 플레이 강도 분포

 

도입


축구 경기는 전술, 테크닉, 피지컬, 심리적 요소를 요구한다. 그러나 제한된 연구로 유소년 축구에서 장기간 어떻게 최적으로 구조화하여 이런 능력들을 배양하고 개발할수 있는지를 알기 위한 연구는 한정적이다. 축구 퍼포먼스와 관련하여 피지컬적인 측면을 개발하기 위해서, 감독들과 과학팀은 모든 연령대의 선수들에게 경기의 생리적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여려 요인들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확실하게 이해 해야한다. 최근 경기 분석은 유소년 선수들의 시합과 관려된 피지컬적인 요구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했다. 



그러나 주어진 시합 간 발생하는 강도는 러닝 강도에서 이동하는 거리를 분석함으로써 주로 연구되었다. 즉, 시합의 러닝 강도를 정의하기 위해 사용되어진 스피드들은 주로 "player-independent"의 가치에 주로 기반이 되었다. 그러나 연령과 신체적 성숙도와 관련한 피지컬 피트니스 덕분에, 시합 간 연령대가 높은 선수들이 일반적으로 피지컬 퍼포먼스가 높았다. 그러나 개별적인 혹은 나이와 관련된 스피드 역치점이 활용될 경우, 어린 선수들이 더욱 스프린트를 많이 하고 연령대가 높은 선수들과 똑같은 거리를 달리는 경향이 있었다. 전반전과 후반전의 러닝 퍼포먼스의 변화는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추세를 보였다. 후반전에 연령대가 낮은 선수들은 연령대가 높은 선수들보다 높은 강도의 러닝을 유지를 했다.



흥미롭게도, 연령대가 낮은 선수들이 후반전에 더욱 나은 퍼포먼스를 보인 것은 피트니스와 관련성이 크지 않다는 점이다. 플레잉 포지션은 피지컬 피트니스 능력과 별개로 유소년 축구 시합의 피지컬 퍼포먼스에 영향을 끼칠수 있다.  생리학적 적응을 유도하는 훈련은 운동 선수에게 부과된 생리학적 하중의 결과이다. 게임에서 부과된 생리학적 요구를 모방하고 과부하를 주는 트레이닝의 특수성을 고려한 프로토콜을 개발하려면 연령, 플레잉 포지션 또는 피트니스 수준에 따라 시합 간 플레이어에게 부과된 상대적인 생리적 부하를 이해해야 한다. 심박수는 축구 트레이닝 간 내부적인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서 사용되어지고 있다. 축구 경기 중 HR을 측정한 결과, 대부분 골키퍼를 제외한 선수들에게 높은 생리적 부하가 부과되었으며 평균적인 운동강도는 HR max 약 85%이고, 가장 높은 심박수는 최대 심박수에 근접했다. 



그러나 유소년 축구 선수들에게 다른 유형의 러닝 수요를 유발하는 스몰 사이드 게임의 유형 간 심박수의 차이가 두드러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축구 게임 간 러닝 스피드보다 심박수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가 존재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Osgnach의 연구에서는 가속이 잦을 경우 느린 스피드의 러닝도 높은 신진대사 요구와 관련될수 있다고 발표했다. 결과적으로 시합과 관련된 활동들은 점프, 턴, 신체적 접촉, 사이드 스텝, 발 끌며 걷기, 태클, 공과 함께 달리는 것과 같은 종종 느린 스피드의 러닝 영역에서 수행되는데, 이는 예측된 러닝 스피드보다 높은 심박수를 증가시킨다.


 

축구에서 외부(러닝 스피드)와 내부(심박수)적 측정의 관련성은 확실하지 않다. 그러므로 외부 및 내부 강도 측정의 평가는 시합 중 축구 선수가 겪는 운동 부하를 더욱 잘 나타내주고 적절한 훈련 기준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수 있다. 유소년 축구 선수의 시합 중 내외부 운동 강도 분포를 발표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도로 훈련된 유소년 선수들의 시합 강도 분포를 나이, 플레잉 포지션 및 피지컬적 피트니스를 함수로 정량화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우리는 축구 시합의 외부 및 내부 부하를 각각 평가하기 위해 설계되고 피지컬 퍼포먼스에 기반한 개별화된 스피드 역치와 심박수 역치를 사용했다.


방법


참여자


시합 데이터는 6개의 연령대에 속한 103명의 유소년 선수들에 의해 수집되었고. 이 선수들은 U13-U18로서 엘리트 축구 아카데미에 속해있다. 연령대에 상관없이 모든 선수들은 평균적으로 ~14시간 축구와 관련한 종합적인 (6-8세션), 스트렝스 ( 1세션) 그리고 컨디셔닝 (1-2 세션) 트레이닝과 경기 ( 주당 지역리그 1 경기 3주당 국제 클럽 경기 1경기)를 했다. 모든 선수들은 이런 방식의 트레이닝과 시합의 양에 익숙해진 상태였다. 선수들과 선수들의 부모로부터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동의 받았다. 이 연구는 이번 저널의 윤리적 기준을 충족시켰으며 윤리 위원회에 승인을 받았다.  






실험 절차



시합 데이터는 4달에 걸쳐 42개의 국제경기에서 1-9번 골키퍼를 제외한 선수들에 의해 수집되었다. 매주 국제 클럽 팀 2팀이 아카데미를 방문하여 같은 연령의 아카데미 팀과 2 경기를 한다. 높은 레벨의 상대팀을 섭외함으로써 경쟁적인 포맷의 일관성을 가져갈수 있고 시합 간 러닝 퍼포먼스의 다양화가 감소될수 있다. 모든 시합들은 동일한 100 x 70 m의 잔디에서 11명의 선수를 활용하여 수행되었다. 시합 시간은 2x35분 (U13과 U14), 2x40분(U15, U16과 U17) 그리고 2x45분(U18)이었다.



모든 선수들은 최대 스프린트 속도(MSS)와 최대 심폐 성능을 정하기 위해, 보다 정확하게 최대 유산소성 스피드 및 최대 심박수를  측정하기 위해 일련의 러닝 테스트를 수행했다. 성장과 관련한 피지컬 퍼포먼스의 잠재적인 교란 효과를 계산하기 위해, 이 테스트는 최소 1번 4달의 조사 기간을 두고 반복되었다. 따라서, 시합 강도의 후속 분석을 위해 경기와 시간상 가장 가까운 테스트 결과가 사용되었다. 


과도한 피로를 초래하지 않도록 퍼포먼스 테스트는 최소 하루 내에 2회 이상의 테스트 세션을 진행했다. 모든 퍼포먼스 테스트들은 표준 환경 조건 (22 ± 0.5 °C, 55 % relative humidity)에서 실내에서 진행 되었고, 모든 트레이닝 세션은 20분 표준화 워밍업이 선행되었으며 모든 플레이어들은 이 테스트 절차에 익숙해졌다.


신체 측정


모든 신체 측정은 아침 여덟시 전에 이루어졌다. 측정은 stretch stature, body mass, sitting height 와 sum of 7 skinfolds (triceps, subscapular, biceps, supraspinale, abdominal, front thig and medial calf). 


피지컬 퍼포먼스


축구 특성의 테스트 ( 축구 무브먼트 패턴과 hoff 테스트 혹은 Yo-Yo테스트) 간 피지컬 퍼포먼스의 평가. 이 테스트들은 대개 다른 피지컬 퀄리티를 동시다발적으로 평가한다 (Yo-Yo IR1 테스트의 결과를 통해 심혈관, 리커버리 능력과 어질리티 능력을 알수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리는 우리는 선수들을 직접 측정할수 있는 고립된 2개의 생리적 변수를 평가하기로 결정했다. 최대 스프린트 스피드(maximal sprint speed :MSS)와 최대 유산소 스피드 추정치(estimated maximal aerobic speed). 즉, 운동 강도는 개별화되고 정제된 생리학적 매개 변수와 관련하여 정량화될수 있다. 게다가 MSS과 MAS 추정치는 실제 경기 조건에서 선수의 운동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Maximal sprinting speed : MSS


최대 스프린트 속도 MSS는 10m 간격으로 설정된 듀얼 빔 전자 타이밍 게이트를 사용하여 최대 40m 스프린트 동안 측정 된 10m 섹터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정의되었다. 0.01 초 단위로 시간을 나누었고 MSS는 km.h로 계산되었다. 선수들은 첫 번째 타이밍 게이트 뒤 0.5m 앞쪽 발에서 출발하여 각 스프린트를 시작하고, 40m 거리를 넘어서도 가능한 빨리 스프린트를 하도록 지시받았다.


반응 시간을 없애고 2번의 시도 중 가장 좋은 퍼포먼스를 최종 결과로서 사용한다.40m 스프린트 클래스 내 상관 계수는 0.94-0.99로 나타났다. 참가자들은 2번의 시도 사이에서 최소 3분 휴식을 취했다. 2번의 시도 중 가장 좋은 퍼포먼스를 분석에 사용했다.


점진적 주행 테스트


선수들은 최대 심폐 기능 및 보다 정확한 최대 유산소 스피드를 평가하기 위해 점진적 주행 테스트를 수행했다. 이 테스트는 Motreal 대학 트랙 테스트(Vam-Eval test)의 변형이다. 처음 8km.h에서 시작하여 연속적으로 분 단위당 0.5km.h가 탈진때까지 측정된다. 선수들은 그들의 러닝 스피드를 다음과 일치하도록 청각 신호에 맞게 조정했다. - 200m 실내 트랙, 마커 콘에 의해 설정된 20m 간격 - 선수들이 시간대에 3번 이상 들어오지 못한다면 테스트는 종료된다. 테스트를 거쳐 심장 박동수가 기록된다. 선수들은 테스터 하는 사람들과 코치들에 의해 격려받는다. 마지막 1분에서 스피드는 선수들의 최대 유산소 스피드로서 추정된다. 마지막 스테이지가 완전히 완료되지 않았을 경우, MAS 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MAS = S f + ( t /60 · 0.5), where S f was the last completed speed in km · h − 1 and t in the time in seconds of the uncompleted stage. 최대 심박수는 테스트의 평균 수치 중 가장 높았던 5초로서 정의된다. 


무산소 스피드 보존량


무산소 스피드 보존량은 MSS와 MAS의 차이에 의해 정량화 될수 있다. MSS와 MAS는 스프린트와 지구력 성능에 대한 신체의 기능적 제한을 나타낸다.


원문 : http://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30825743_Match_Play_Intensity_Distribution_in_Youth_Soccer

출처 : http://www.trainertalk.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