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레이닝학] 유소년 축구의 매치 플레이 강도 분포

2019. 2. 7. 00:40축구논문

유소년 축구의 매치 플레이 강도 분포


dfb a jugend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연령, 플레잉 포지션 및 피지컬 피트니스와 관련하여 유소년 축구 선수들의 매치 플레이 강도 분포를 정량화 하는 것이었다. 이동 거리와 심장 박동수는 자주 훈련을 받는 13세-18세 선수들 103명의 42개 국제적 경기를 통해 측정되었다. 최대 스프린트 스피드(maximal sprinting speed :MSS), 최대 유산소 스피드(maximal aerobic speed :MAS) 추정치와 최대 심박수(HR max)가 필드 테스트 측정 방법을 통해 평가되었다. 이동 거리와 심박수는 5개 강도로 항목화 되었으며, 이는 MSS, MAS, HR max와 관련하여 측정되었다. 강도 분포는 명백하게 나이, 플레잉 포지션(측면 미드필더들과 스트라이커들이 MAS를 상회하는 거리를 이동함)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MAS와 MAS를 상회하는 스피드로 이동한 거리의 상관관계는 스트라이커를 제외한 모든 포지션에서 매우 두드러진 반비례 관계가 나타났다. (r =− 0.52–0.74)  심장 박동수 반응은 연령대와 플레잉 포지션에 따라 달랐다. MAS 아래로 이동한 거리는 후반전이 더 낮았다 (P < 0.05; 0.08 < η2 < 0.20) , 반면 MAS를 상회한 강도로 이동한 거리는 유지되었다. (P > 0.1; 0.00 < η2 < 0.03) MAS 아래로 이동한 거리가 감소한 것은 선수의 피지컬 능력과 관련된 것이 아니다. 스트라이커들을 제외하고, 유산소성 운동능력은 총 이동 거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지는 않지만, 경기에서 요구하는 개별적인 러닝의 횟수가 감소한 것과 관련있다.  

 

원문 : http://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30825743_Match_Play_Intensity_Distribution_in_Youth_Soccer


출처 : http://trainertalk.net/bbs/write.php?bo_table=the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