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레이닝학] 유소년 축구의 매치 플레이 강도 분포-3

2019. 2. 9. 14:03축구논문

유소년 축구의 매치 플레이 강도 분포-3


dfb a jugendì ëí ì´ë¯¸ì§ ê²ìê²°ê³¼


글을 읽기 전,


최대 유산소 스피드란? http://trainertalk.net/bbs/board.php?bo_table=training&wr_id=625&page=2 를 읽으시면 내용을 이해하는데 더욱 도움이 됩니다.




시합 퍼포먼스 측정



도구


(원문 확인 요망- 생략)


분석



동일한 포지션에서 전체 전/후반전을 참여한 모든 선수들의 타임 모션 데이터 (n= 550 files from 103 different players, n= 360 for 1st half and n=190 2nd half) 가 분석 간 획득되었다. 전반전을 마친 선수들에 한에서만 후반전 파일을 측정했다. 모든 팀은 1명의 스트라이커 중 1명이 세컨드 스트라이커 역할을 수행하는 1-4-4-2의 변형으로서 1-4-4-1-1- 포메이션을 가동했다. (본 연구는 골키퍼를 제외한 필드 플레이어를 대상으로 실시됨) 팀 구조 내에서 선수들의 역할이 시합 간 거의 변경되지 않았기 때문에, 모든 선수들은 6개의 포지션 그룹 중 하나에 위치되었다. ; full backs (FB, n = 20 players, yielding 100 files), centre backs (CB, n = 15 players, yielding 127 files), midfielders (MD, n = 19 players, yielding 115 files), wide midfielders (W-MD, n = 24 players, yielding 84 files), second strikers (2ndS, n = 11 players, yielding 56 files) and strikers (S, n = 14 players, yielding 57 files)


모든 시합 데이터는 마이크로 소프트 엑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객관적인 피지컬 퍼포먼스를 입력했다. 각 선수들의 시합 중 개별적인 external load(러닝 강도)를 묘사하기 위해 5개의 러닝 강도 구역이 설정되었다. Speed Zone 1 (S1): MAS 60% 아래, Speed Zone 2 (S2): MAS 61%-80%, Speed Zone 3 (S3) : MAS 81%- 100%, Speed Zone 4 (S4) : MAS 101% - ASR의 30%, Speed Zone 5 (S5) : ASR의 31% 위 / S1+S2+S3+S4+S5의 합산, MAS 아래로 이동한 거리 합산 (S1+S2+S3), MAS 위로 이동한 거리 합산(S4+S5)가 계산되었다. 


(MAS : maximal aerobic speed - 최대 유산소 스피드) (ASR : anaerobic speed reserv - 무산소 스피드 보존량)



심박수 데이터는 다음과 같이 분류되었다. 


HR1,  < 60 % HR max ; HR2, 61–70 % HR max;  HR3, 71–80 % HR max;  HR4, 81–90 % HR max ; HR5,  > 91 % HR max 


심박수와 러닝간 관계를 비교하기 위해 심박수 구간 중 평균적인 스피드가 입력되었다. U13의 심박수 데이터는 어떤 문제로 인해 수집되지 않았다.


통계분석


원문 확인 요망 (생략) - 통계방법 - 일원분산분석과 관련한 내용


결과


나이와 플레잉 포지션에 따른 선수들의 피지컬과 퍼포먼스 특성







 

 Age-related effect





전반전과 후반전 연령과 관련한 시합 강도 분포, 전반전에는 연령대가 높은 선수들이 더욱 많은 거리를 이동했다 (η 2  = 0.09) U16, U17과 U18 선수들은 S1 구간에서 다른 3 그룹들보다 많은 거리를 이동했다. U13 선수들은 S1에서 다른 연령 그룹들보다 낮은 거리를 이동했다. (η 2  = 0.25).


U18 선수들은 S3 구간에서 U13, U14, U15와 U16 선수들보다 적은 거리를 이동했다. (η 2  = 0.06) U13 선수들은 S5에서 다른 연령대 그룹들보다 많은 거리를 이동했다. (i. e., U15, U16, U17, U18; η 2  = 0.08) 연령별 차이의 유사성은 후반전에도 나타났다. 연령이 높은 그룹이 S1 구간에서 다른 그룹들보다 많은 거리를 이동했다 (η 2  = 0.39). 그리고 연령이 낮은 그룹들이 S3 구간에서 U18보다 많은 거리를 이동했다. (η 2  = 0.12) 후반전 총 이동 거리는 전반전보다 낮았는데 이는 모든 연령대 그룹들에게서 나타났다. (0.09  <  η 2   <  0.48) 


 S1 (4–11 %; 0.04  <  η 2   <  0.28) 그리고 S2 (12–24 %; 0.05  <  η 2   <  0.27) 구간에서 이동한 거리는 후반전이 전반전 보다 더 짧았다. U13, U15, U17과 U18 선수들은 후반전에 S3에서 더 적은 거리를 뛰었다. (14–19 %; 0.06  <  η 2   <  0.13) S4 구간에서 러닝 거리는 후반전에 현저히 낮았다. U13 (33 %; η 2  = 0.14), U15 (27 %; η 2  = 0.06) and U16 (24 %; η 2  = 0.06). 




국제적 수준의 유소년 클럽들 간 시합에서 발생한 전,후반 심박수 구간 비율


연령과 상관없이 선수들은 최대 심박수 81%를 상회하는 두 구간에서 활동 비율이 높았다. (HR4와 HR5). 이것은 후반전에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면, HR2와 HR3 구간에서 활동이 증가했다.


 


 

연령대별 러닝 스피드와 심박수간의 관계


연령과 상관없이 평균적인 스피드는 HR4구간에서 가장 높았다. U14와 U15는 HR4 구간에서 평균 스피드가 U17과 U18보다 낮았다. 대부분의 그룹들은 후반전에 최대 심박수 81%를 상회하는 구간에서 스피드가 낮아졌다.


플레잉 포지션와 관련한 차이 



센터백과 스트라이커는 총 이동 거리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η 2  = 0.26) 역으로, 미드필더와 측면 미드필더는 풀백, 센터백과 스트라이커보다 총 이동 거리에서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η 2  = 0.26). 스트라이커는 S2와 S3 구간에서 다른 포지션들보다 현저히 짧은 거리를 이동했고, 미드필더는 S2에서 가장 긴 거리를 이동했다. (η 2  = 0.26). 센터백과 스트라이커는 S3구간에서 가장 짧은 거리를 이동했다  (η 2  = 0.27).  측면 미드필더는 S4 구간에서 풀백, 센터백과 미드필더보다 긴 거리를 이동했다. (η 2  = 0.08). 미드필더는 S5 구간에서 다른 포지션들과 비교했을 때 가장 짧은 거리를 이동했다 (η 2  = 0.29). 반면 스트라이커는 S5 구간에서 풀백, 센터백, 미드필더, 세컨드 스트라이커보다 긴 거리를 이동했다.



후반전에는 포지션별 차이가 덜 명확하게 나타났다. 플레잉 포지션과 별개로 후반전에 총 이동거리가 전반전 보다 짧았다. (0.12  <  η 2   <  0.31). 세컨드 스트라이커를 제외하고 다른 포지션의 선수들은 후반전 S1 구간에서 이동거리가 5-8%가 감소했다. (0.07  <  η 2   <  0.18) S2와 S3의 거리는 후반전에 모든 포지션을 통틀어서 낮았다. (15–18 %; 0.08  <  η 2   <  0.20). 플레잉 포지션과 별개로 MAS를 상회하는 S4와 S5구간에서 러닝 거리는 후반전 감소하지 않았다. (0.00  <  η 2   <  0.03). 





심박수 구간에서 포지션 차이점이 존재하지 않았다.


플레잉 포지션과 별개로, 선수들은 81% HR max (HR4 와 HR5) 구간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냈다. 후반전 HR5의 구간에서 시간이 감소하는 경향이 보였고, 반면 HR3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플레잉 포지션과 관련하여 심박수 구간에서 평균적인 스피드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플레잉 포지션과 별개로,  81 % HR max (HR4와 HR5) 구간에서 평균 스피드가 다른 구간보다 높았다. HR4와 HR5의 평균 스피드는 후반전 감소하는 경향이 보였다.






MAS와 총 러닝 거리 간 두드러진 정비례 관계가 스트라이커 포지션에서 나타났다. 측면 미드필더를 제외한 모든 포지션에서 MAS와 MAS 아래 스피드로 이동한 거리 간 정비례 관계가 나타났다. 게다가, 스트라이커를 제외한 모든 포지션에서 MAS와 MAS를 상회한 스피드로 이동한 거리의 반비례 관계가 나타났다.


최대 스프린트와 무산소 스피드 보존량과 최대 심박수와 시합 러닝 퍼포먼스 간 특별한 상관관계는 발생하지 않았다.




원문 : http://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30825743_Match_Play_Intensity_Distribution_in_Youth_Soccer

번역출처 : http://trainertalk.net/bbs/board.php?bo_table=thesis&wr_id=78